본문 바로가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기간 자격 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들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일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온라인 신청기간, 기준 중위소득,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청년내일저축계좌 민원 상담·안내 문의처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안내를 위한 제목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안내를 위한 제목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월 1일(수)부터 5월 21일(화)까지 3주간 ‘청년내일저축계좌’ 2024년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내일저축 계좌는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들이 미래에 대비하여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의 대표적인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일하는 청년(기준 중위소득 50~100% 이하)

일하는 청년(기준 중위소득 50~100% 이하)이 3년간 매월 10만 원을 저축 하면 정부가 월 10만 원을 지원하여, 만기 시에는 총 720만 원의 적립금 (본인납입 360만 원 포함)과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은 지원을 더욱 두텁게 하여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30만 원을 지원합니다. 3년 뒤 총 1440만 원(본인납입 360만 원 포함)의 적립금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정윤순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통해서 저소득 청년층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기준 및 지원 내용 정리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기준 및 지원 내용 정리 이미지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추세

2022년부터 시작되어 올해 3년 차를 맞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누적 9만 명 청년이 가입하였고, 올해에는 4만여 명의 청년을 추가 모집할 계획입니다.

* (’22년) 가입 4.2만 명 → (’23년) 가입 4.8만 명 → (’24년) 모집 4.4만 명(잠정)

청년내일저축계좌 2024년 개선된 점

올해부터는 청년층, 지자체 현장 의견 등을 반영하여 가입 대상기준 완화, 편의성 개선 등을 통해 더욱 많은 청년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첫째, 가입 기준·절차를 완화하고 간소화하여 지원 대상을 확대합니다. 근로․ 사업소득 상한 기준을 기존 220만 원에서 230만 원으로 상향하고, 기준 중위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별도 가구자산 조사는 진행하지 않는 등 조사 절차를 간소화하였습니다.
  • 둘째, 적립중지제도를 개선하여 가입유지율을 제고합니다. 기존 군 입대,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휴직·퇴사의 경우 적립 중지(2년, 만기 연장)가 가능 하도록 하였으나, 적립 중지가 가능한 경우에도 본인 희망 시에는 지속 납입이 가능하도록 변경됩니다.
  • 셋째, 자동알림서비스를 신설하여 계좌 관리의 편의성을 증진합니다. 매달 본인 납입금 저축 시기에 모바일로 개별 메시지를 전송하여, 가입자가 저축 시기를 놓쳐 본인 저축금을 납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 알림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가입을 희망하는 청년은 신청 기간 내 주소지 시군구 내 가까운 어느 읍면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에서도 방문하여 신청 가능하며,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복지포털사이트 복지로*에서도 신청(5월 1일(수)부터)할 수 있습니다.

* 복지로(www.bokjiro.go.kr), 자산형성포털(hope.welfareinfo.or.kr)을 통해 필수 제출 서류 확인 및 양식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자산형성포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정리 도표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정리 도표 이미지입니다.

대상자 선정 결과는 소득 조사 등을 실시하여 8월 중에 개별 문자메시지로 안내할 예정이며, 선정 안내를 받은 청년은 통장을 개설하고 매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
신청 접수 소득 조사 대상자 선정·결정 계좌개설 및 지원개시
· 복지로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시군구 소득확인조사 · 가입대상자 선정
· 결정 및 개별 안내
· 가입자 통장 개설
· 본인 적립금 자동이체
5.1(수) ~ 5.21(화) 6월 ~ 7월 8월~ 8.1(목) ~ 8.22(목)

청년내일저축계좌 민원 상담·안내 문의처

기타 궁금한 사항은 자산형성지원콜센터(☎ 1522-3690) 및 자산형성포털 (hope.welfareinfo.or.kr) 챗봇서비스,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복지로(☎ 1566- 0313),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상담·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온라인 신청기간

- 청년내일저축계좌 온라인 신청 기간은 5.1(수)~ 5.21(화) 입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마감일 ‘24.5.21(화) 23시59분59초까지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한 신청서만 접수됩니다.

(예) 5.21(화) 23시 로그인하여 5.22(수) 00시 5분 제출 시, 신청서 접수 불가

청년내일저축계좌 서류제출 유의사항

- 제출서류는 자산형성지원사업 신청자 가구의 근로‧사업소득, 소득인정액 확인 및 심사를 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 제출서류가 미비한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서류를 확인하여 반드시 기한 내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서류미비 시 보장기관에서 별도요청 하였음에도 기한 내 서류완비가 되지 않을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각 소득‧재산 사항은 행복e음(사회보장정보시스템) 조회 결과를 우선 적용합니다.

※ 가구특성, 저축지속가능성 서류 미제출 시 해당 항목의 최저점이 적용(기간 내 미제출 시 추후 제출 및 별도 보완요청 하지 않음)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은 아래의 첨부된 파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중 복지서비스신청 구비서류등록 페이지의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중 복지서비스신청 구비서류등록 페이지의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중 복지서비스신청 신청완료 페이지의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중 복지서비스신청 신청완료 페이지의 이미지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은 아래의 파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청년내일저축계좌 따라하기인 신청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따라하기.pdf
2.2 MB

🔽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결론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온라인 신청기간, 기준 중위소득,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일정, 청년내일저축계좌 민원 상담·안내 문의처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격조건에 해당되시는 분은 놓치지 말고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저는 함께하면 좋은 글 소개 드리면서 이만 물러가보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하면 좋은 글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안내

이 글이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기를 바라며, 귀중한 시간을 할애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그럼 저는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를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4 BalancedHarmony. All rights reserved.

Contact us at: wvibrtf@gmail.com